
지도에 바람 벡터 그리기
·
대기과학/프로그래밍
- 개요대기과학을 하다보면 주로 속도, 온도, 습도와 같은 변수를 다룹니다.속도는 운동방정식, 온도는 열역학방정식, 습도(혹은 비습)는 강수 때문에(습윤 대기로 가정하면 지배방정식에 들어가지만 대학원 수준에서도 웬만해선 건조 대기로 배움) 이런 변수들을 분석하게 되죠. 이런 변수를 지도에 시각화하려면?온도, 습도와 같은 변수는 선(contour)이나 음영(shading)을 사용합니다.하지만 속도의 경우, x방향, y방향 중 한 방향의 속도(속력)은 선과 음영으로 시각화 가능하지만보통은 x, y방향의 속도를 벡터로 표현해 풍속과 풍향이 한 눈에 보이도록 시각화합니다. 시각화할 때 구글에서 남이 짠 코드를 찾아서 복사, 붙여넣기하는 것이 정석인데선과 음영을 그린 코드는 많지만 바람 벡터에 대한 코드는 적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