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ython] 스마트서울 도시데이터 센서(S-DoT)로 보는 집중호우 발생시 온도장: 2. 온도장 확인 및 레이더 에코와 비교
·
대기과학/프로그래밍
- 개요저번 포스트에서는 S-DoT 자료를 전처리하고 간단히 그림을 그려보았습니다.2024년 8월 13일에 내린 집중호우는 서울 전역을 강타한 것이 아니라 특정 지역에만 내렸습니다.ASOS/AWS 관측소가 서울에 30개나 있지만 이 정도로는 국지성 호우의 영향을 보기 어렵습니다.하지만 서울에 1000개나 설치한 S-DoT이라면 국지성 호우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겠죠. 집중호우가 내린 곳은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레이더 에코의 위치와 S-DoT의 온도가 감소하는 위치가 거의 같을 겁니다.그러므로 2024년 8월 13일 시간별로 레이더 에코와 S-DoT 온도장을 확인해보겠습니다.우리는 변화를 봐야하기 때문에 정확히는 온도장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1시간 동안 변한 온도의 공간장을 그려야 합니다.만약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