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을 이용하여 GK2A(천리안 2호) 위성 데이터 처리하는 방법을 총 3단계로 알아봅니다.
1. 다운로드
2. NC 파일 읽기
3. 간단한 시각화
이번 포스트에서는 다운로드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국가기상위성센터 홈페이지 접속/로그인, 원하는 자료 선택 및 다운로드
GK2A 데이터는 국가기상위성센터(https://nmsc.kma.go.kr/homepage/html/main/main.do)에서 다운 받을 수 있으며,
직접 변수 및 날짜를 선택하여 다운, API로 다운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저는 직접 선택하여 다운 받았습니다.
우선 국가기상위성센터에 들어가서 [자료제공]에 마우스를 올린 다음 [파일조회 (새창)]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선택 창이 나타나고, 여기서 본인이 원하는 자료를 조회해서 검색합시다.
저는 천리안위성 2A호, AMI센서, 레벨2의 한반도 연직온습도프로파일을 다운 받아보겠습니다.
위성 자료를 받고 시각화하는 것이 목표라 포맷은 NetCDF로 설정했습니다.
긴 기간의 자료를 한 번에 다운 받으려면 자료조회의 [기간] 버튼을, 하루치씩 받을 생각이면 [개별]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개별]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에 날짜를 검색하는 부분이 보입니다. 원하는 날짜로 검색하고 필요한 위성 자료를 체크한 후 자료담기를 누릅시다. 자료담기는 쇼핑사이트에서 장바구니에 담기와 같습니다.
자료담기를 누른 후 자료요청 페이지에서 원하는 자료를 선택하고, 부가 정보를 적습니다.
자료압축분할은 500mb 밖에 선택이 안되고, 포맷은 GZ파일로 받겠습니다. ZIP, BZ2 포맷도 가능합니다.
가장 아래 자료요청을 클릭합시다.
자료요청을 하면 다운로드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처리 완료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다운 받으면 됩니다.
- 압축분할 파일 풀기
우린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때 압축분할에서 500mb를 선택했습니다.
만약 선택한 자료가 500mb보다 크면 분할압축된 여러 개의 파일을 받아야합니다.
제가 받고자한 데이터는 1gb보다 크므로 3개의 분할압축 파일을 받았습니다.
아래는 분할압축된 파일의 압축해제를 하는 법입니다.
ls
#총 3개의 파일 다운로드했음
209870.tar.gzaa 209870.tar.gzab 209870.tar.gzac
# 3개의 분할압축된 파일을 하나의 압축파일로 합치기
cat 209870.tar.gzaa 209870.tar.gzab 209870.tar.gzac > combined.tar.gz
# 파일이 너무 많다면
cat 209870.tar.gz* > combined.tar.gz
# 합친 압축파일을 풀기
tar -zxvf combined.tar.gz
압축 해제를 하면 작업한 경로의 work/00폴더에 위성자료가 있습니다.
다음에는 압축해제한 파일을 파이썬으로 읽어보겠습니다.
'대기과학 >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lium] 지도에 ASOS 관측소 위치 표시하기 (0) | 2024.05.10 |
---|---|
[python] 지도에 대한민국 행정 단위 경계 그리기 (1) | 2024.04.29 |
지도에 ASOS 관측소 위치 표시하기 (0) | 2024.04.25 |
[GK2A(천리안 2호) 위성 데이터 처리] 3. 간단한 시각화 (0) | 2024.04.22 |
[GK2A(천리안 2호) 위성 데이터 처리] 2. NC 파일 읽기 (1) | 2024.04.18 |